맨위로가기

아칼라 사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칼라 사미어는 즈야코프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는 형태론을 가지며, 명사는 8개의 격과 단수 및 복수 형태를 띤다. 인칭 대명사, 의문사, 지시사가 존재하며, 동사는 3개의 인칭과 2개의 수를 가지며 직설법, 명령법, 조건법의 3가지 양식을 사용한다. 완료, 대과거, 조건법, 부정 동사 등 다양한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미어파 - 피테 사미어
    피테 사미어는 스웨덴 북부 아르예플로그 지역에서 사용되는 서부 사미어에 속하는 사미어 방언으로, 룰레 사미어와 가장 가깝고 남부, 우메 사미어와도 공통점을 가지며, 2019년 공식 정자법이 승인되었고, 복잡한 동사 활용 체계와 9개의 격을 사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 사미어파 - 룰레 사미어
    룰레 사미어는 스웨덴 북부와 노르웨이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약 650명의 화자를 가진 사미어의 한 방언으로, 소멸 위기에 처해 있으며, 1983년 표준화되었고, 7개의 격과 특이한 동사 활용 체계를 갖는 우랄어족 언어이다.
  • 러시아의 언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러시아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아칼라 사미어
지도 정보
사미어 사용 지역 내 아칼라 사미어 사용 지역 (빨간색)
사미어 사용 지역 (회색) 내 아칼라 사미어 사용 지역 (빨간색)
아칼라 사미어는 UNESCO 세계 멸종 위기 언어 지도에서
아칼라 사미어는 유네스코 세계 멸종 위기 언어 지도 (2010)에서 "사멸"로 분류됨
기본 정보
언어 이름아칼라 사미어
로마자 표기Aʼkkel
러시아어 이름Бабинский саа́мский (바빈스키 사암스키)
다른 러시아어 이름Бабинский (바빈스키)
핀란드어 이름Akkala (아칼라)
자칭Čuʼkksuâl (추크수알)
사용 지역
국가러시아
지역콜라 반도 남서부
인구
민족80명의 아칼라 사미족 (2011년)
화자 수4명의 수동적 화자 (2018년)
상태
사멸2003년 12월 29일, 마리아 세르기나 사망
언어학적 정보
어족우랄어족
어파사미어
하위 어군동부
세부 어군본토
문자키릴 문자
식별
ISO 639-3sia
Glottologakka1237
Glottolog 참조Akkala Saami

2. 형태론

다음 개요는 즈야코프(Pyotr M. Zaykov)의 저작을 바탕으로 한다.[7] 즈야코프의 우랄어 음성 표기가 여기서도 사용된다. 중간 점(.)은 앞선 자음의 구개음화를 나타내며, 즈야코프는 이를 반경음 발음으로 분석했다.

2. 1. 명사

아칼라 사미어의 명사는 주격, 속격-대격, 부분격, 여격-향격, 처격, 본격, 공격, 탈격의 8가지 격과 단수 및 복수를 가진다. 격과 수는 어미와 자음 연쇄의 조합으로 표현된다. 각 격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주격: 단수에는 표지가 없고, 복수에는 약한 단계가 적용된다.
  • 속격-대격: 단수에는 약한 단계가 적용되고, 복수에는 약한 단계에 ''-i''가 추가된다.
  • 부분격: 단수에만 존재하며, 어미는 ''-tti͔smi''이다.
  • 여격-향격: 단수에는 강한 단계에 ''-a'', ''-a͕'' 또는 ''-ɛ''가 추가되고, 복수에는 약한 단계에 ''-i''가 추가된다.
  • 처격: 단수에는 약한 단계에 ''-st'', ''-śtˑ''가 추가되고, 복수에는 약한 단계에 ''-nˑ''가 추가된다.
  • 본격: 단수에만 존재하며, 강한 단계에 ''-nˑ''가 추가된다.
  • 공격: 단수에는 약한 단계에 ''-nˑ''가 추가되고, 복수에는 강한 단계에 ''-guimsmi'', ''-vuimsmi'' 또는 ''-vi̮i̭msmi''가 추가된다.
  • 탈격: 단수에는 약한 단계에 ''-ta''가 추가된다.

2. 2. 대명사

아칼라 사미어의 대명사에는 인칭 대명사, 의문사, 지시사가 있다. 인칭 대명사로는 '나', '우리', '너', '그/그녀', '너희', '그들' 등이 있으며, 의문사로는 '무엇', '누구' 등이 있다. 지시사는 가까운 것을 가리키는 '이것'과 중간 거리를 가리키는 '저것'이 있다.

2. 2. 1. 인칭 대명사

다음 표는 인칭 대명사 monn|나sia와 mij|우리sia의 활용을 보여준다. tonn|너(단수)sia와 sonn|(그)녀sia는 monn|나sia와 같이 활용되고, tij|너희(복수)sia와 sij|그들sia은 mij|우리sia와 같이 활용된다.[1]

 단수복수
주격monn|나siamij|우리sia
소유격-대격mū|나siamii̭ji|우리sia
본질격munˑ|나sia
여격-내격munˑnˑa͔|나siamii̭ji|우리sia
처격muśtˑ|나siamiśtˑ|우리sia
공동격muinˑ|나siamii̭jivuim|우리sia
탈격muta|나siamii̭ta|우리sia


2. 2. 2. 의문사

의문사 mī|무엇sia과 tˑī, kī|누구sia의 활용은 다음과 같다.

 mī|무엇siatˑī, kī|누구sia
주격mī|italic=nosiatˑī, kī|italic=nosia
소유격-대격mi̮n|italic=nosiat́an, ḱan|italic=nosia
여격-내격mi̮z|italic=nosiakoz|italic=nosia
처격mi̮st|italic=nosiakośtˑ|italic=nosia
공동격mi̮i̭nˑ|italic=nosiaḱainˑ|italic=nosia
탈격mi̮nta|italic=nosiaḱanta|italic=nosia


2. 2. 3. 지시사

지시사는 다음과 같이 활용된다.

rowspan=2|근거리
tˑa͕t|이것sia
중거리
ti̮t|저것sia
단수복수단수복수
주격tˑa͕t|이것siatˑa͕k|이것siati̮t|저것siati̮k|저것sia
소유격-대격tˑa͕nˑ|이것siatˑa͕i|이것siati̮n|저것siati̮i̭|저것sia
본질격tˑa͕inˑ|이것siati̮i̭nˑ|저것sia
여격-내격tˑa͕z|이것siatˑai(t)|이것siati̮k|저것sia, ti̮z|저것siati̮i̭(t)|저것sia
처격tˑa͕śtˑ|이것siatˑa͕in|이것siati̮śtˑ|저것siati̮i̼(n)|저것sia
공동격tˑa͕inˑ|이것siatˑa͕ivuim|이것siati̮i̭nˑ|저것siati̮i̭vuim|저것sia
탈격tˑa͕ta|이것siatˑa͕ita|이것siati̮ta|저것siati̮i̭ta|저것sia


2. 3. 동사

아칼라 사미어 동사는 3개의 문법적 인칭(1, 2, 3인칭)과 2개의 수(단수, 복수)를 가진다. 양식은 직설법, 명령법, 조건법의 3가지가 있으며, 잠재법은 소멸하였다.

2. 3. 1. 동사 활용

아칼라 사미어의 동사는 3개의 문법적 인칭과 단수, 복수 2개의 수를 갖는다. 양식은 직설법, 명령법, 조건법의 3가지가 있다. 잠재법은 사라졌다.

동사 va͕n̄ˑće|걷다sia
현재과거
1인칭 단수vā͕nʒam|걷다siava͕n̄ˑcim|걷다sia
2인칭 단수va͕nʒak|걷다siavā͕nˑcik|걷다sia
3인칭 단수va͕n̄ˑc|걷다siavānˑʒi|걷다sia
1인칭 복수va͕n̄ˑćepˑ|걷다siavānˑʒim|걷다sia
2인칭 복수va͕nˑćepˑpˑe|걷다siavānˑʒitˑ|걷다sia
3인칭 복수vā͕nˑʒatˑ|걷다siavan̄ˑciš|걷다sia



동사 korrɛ|뜨다sia
현재과거
1인칭 단수kōram|뜨다siakorri͔m|뜨다sia
2인칭 단수kōrak|뜨다siakorri͔k|뜨다sia
3인칭 단수korr|뜨다siakōri͔|뜨다sia
1인칭 복수korrɛpˑ|뜨다siakōri͔m|뜨다sia
2인칭 복수korrɛpˑpˑe|뜨다siakōri͔tˑ|뜨다sia
3인칭 복수kōratˑ|뜨다siakorri͔š|뜨다sia



동사 ĺiije|있다sia
현재과거
1인칭 단수ĺam|있다siaĺii̭jim|있다sia
2인칭 단수ĺak|있다siaĺiijik|있다sia
3인칭 단수ĺie|있다siaĺai|있다sia
1인칭 복수ĺepˑ|있다siaĺījim|있다sia
2인칭 복수ĺepˑpˑe|있다siaĺījitˑ|있다sia
3인칭 복수ĺetˑ|있다siaĺii̭jiš|있다sia



완료 및 대과거와 같은 복합 시제는 현재 또는 과거의 동사 ĺii̭je|있다sia조동사로 사용하고, 본 동사의 분사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예로는 tĭĕhttɛ|알다sia에서 파생된 ĺam tĭĕhtmi̮nč|나는 알고 있다sia와 tui̭je|만들다sia에서 파생된 ĺai tui̭jāma|(그녀는) 만들었었다sia가 있다.

조건법은 줄기 약화형에 추가되는 표지 '-č'를 갖는다. 예를 들어 kuarčim|나는 바느질할 것이다sia, vizzčik|너(단수)는 피곤해질 것이다sia와 같다.

다른 사미어와 마찬가지로, 아칼라 사미어는 주 동사는 변하지 않고 인칭과 수에 따라 활용되는 부정 동사를 사용한다. 부정 동사의 활용은 동사 aĺ̄ḱe|시작하다sia와 함께 아래에 표시된다.

동사 aĺ̄ḱe|시작하다sia
1인칭 단수jim aĺg|시작하다sia
2인칭 단수jik aĺg|시작하다sia
3인칭 단수ij aĺg|시작하다sia
1인칭 복수jepˑ aĺg|시작하다sia
2인칭 복수jepˑpˑe aĺg|시작하다sia
3인칭 복수jetˑ aĺg|시작하다sia



동사 ĺii̭je|있다sia의 3인칭 단수 및 복수형은 특수한 축약형 ɛĺĺa|있다sia 및 jāĺa|있다sia를 갖는다.

2. 3. 2. 완료 및 대과거

완료 및 대과거와 같은 복합 시제는 조동사 ĺii̭jesia ('있다'의 현재 또는 과거)와 본동사의 분사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예로는 tĭĕhttɛsia '알다'에서 파생된 ĺam tĭĕhtmi̮nčsia '나는 알고 있다'와 tui̭jesia '만들다'에서 파생된 ĺai tui̭jāmasia '(그녀는) 만들었었다'가 있다.

2. 3. 3. 조건법

조건법은 줄기 약화형에 '-č'가 추가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면 kuarčim|나는 바느질할 것이다sia, vizzčik|너(단수)는 피곤해질 것이다sia와 같다.

2. 3. 4. 부정 동사

아칼라 사미어는 주 동사는 변하지 않고 인칭과 수에 따라 활용되는 부정 동사를 사용한다. 부정 동사의 활용은 아래와 같다.

동사 aĺ̄ḱe|알키에sia '시작하다'
jim aĺg|임 알그sia
jik aĺg|익 알그sia
ij aĺg|이 알그sia
jepˑ aĺg|옢 알그sia
jepˑpˑe aĺg|옢뻬 알그sia
jetˑ aĺg|옛 알그sia



동사 ĺii̭je|이예sia '있다'의 3인칭 단수 및 복수형은 특수한 축약형 ɛĺĺa|엘랴sia 및 jāĺa|얄랴sia를 갖는다.

참조

[1] 웹사이트 «Лингвистический оптимизм»: репортаж с конференции «Лингвистический форум 2019: Коренные языки России и мира» https://iling-ran.ru[...] 2024-09-10
[2] 간행물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s://unesdoc.unes[...] UNESCO 2010
[3] 웹사이트 Nordisk samekonvensjon http://www.galdu.org[...] 2014-02-07
[4] 문서 Rantala, Leif, Aleftina Sergina 2009. Áhkkila sápmelaččat. Oanehis muitalus sámejoavkku birra, man maŋimuš sámegielalaš olmmoš jámii 29.12.2003. Roavvenjárga.
[5] 서적 Ethnic and Linguistic Context of Identity: Finno-Ugric Minorities University of Helsinki, Department of Finnish, Finno-Ugrian and Scandinavian Studies 2011
[6] 웹사이트 Росстат — Всероссийск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2020 https://rosstat.gov.[...] 2023-01-03
[7] 문서 Зайков, П. М. Бабинский диалект саамского языка (фонолого-морфологическое исследование). Петрозаводск: «Карелия», 1987.
[8] 문서 Akkala Sami at Ethnologue (18th ed., 2015)
[9] URL http://www.galdu.org[...]
[10] 문서 Rantala, Leif, Aleftina Sergina 2009. Áhkkila sápmelaččat. Oanehis muitalus sámejoavkku birra, man maŋimuš sámegielalaš olmmoš jámii 29.12.2003. Roavvenjárga.
[11] 문서 Scheller, Elisabeth 2011. The Sami Language Situation in Russia. In: "Ethnic and Linguistic Context of Identity: Finno-Ugric Minorities." Uralica Helsingiensia 5. Helsinki. 7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